#다육을 키우시다 보면 #다육이용어가 헷갈리시거나 모르는 말들을 자주 접하실 겁니다.
알고 나면 별거 아닌 용어인데 일일이 물어보기도 낯간지럽고.........
자주 등장하는 단어들 몇 가지 적어볼까 합니다.
두서 없이~~~~^&
👉 다육식물이란?
많을 " 多 " 고기"肉 "자를 써서 #다육식물이라 한다고 하네요.
잎이나 줄기나 뿌리에 물을 많이 저장해서 고기로 치면 육질
즉 수분이 많다는 이야기입니다. #선인장, #난초, #돌나무 등
다육식물이 많지만 너무 광범위하여 다른 종류로 분류시켰지만
우리가 키우는 일반 다육만 다육식물은 아닙니다.
👉 국민이, 궁민이, #국민다육이란???
이런 용어는 없는데 키우시는 분들이나 농원에서 편의상 이리 부른다고 합니다.
가격이 부담이 없어서 누구나 쉽게 살수 있는 #다육이를 말합니다.
👉 #모체, #모주, #자구,
모체란 원래 있던 큰놈을 말합니다. 엄마라고 보시면 됩니다.
자구란 엄마 한 데서 나오는 아가들을 말하고.
엄마 몸에 달려 있어야 자구라 합니다.
자구가 바글바글 ??은 아가들이 많이 달렸다는 말
👉 목대
목대란 다육이 줄기가 목질화 (나무처럼 거칠거칠)된 것을 말합니다.
목대가 굵다 약하다 이렇게 말하지요 ........
👉 로제트
다육이 로제트가 촘촘하다, 로제트가 작다, 크다 ???
이런 말을 들으셨을 겁니다.
꽃은 꽃송이라 하지만 다육이는 평상시 잎을 보는 식물이지요.
그래서 잎이 송이져 있는 것을 로제트라고 한다네요.
얼굴이라고 도 하지요.
얼굴이 하나 두개 이것은 로제트가 2개라는 말입니다.
👉 용토, 상토
다육이 심을 때 사용하는 일반 흙을 말합니다.
이 흙을 마사와 섞어서 사용하지요,
화원에서 파는 일반 식물용 흙을 말합니다.
👉 달달 굽는다. 달달 볶는다?
다육이를 햇살을 많이 보여 준다는 말입니다.
야외나 난간 걸이대 등으로 내보내 직 광을 받거나
하루 종일 햇살을 받게 하는 것을 달달 구운다고 표현합니다.
레인지나 가스불로 구우심 클 납니다. ㅋ ㅋ
👉 마사
화분에 심을 때 마사를 섞어서 심고 굵은 마사를 위에 올리라는 말 많이 들으셨지요??
마사란 굵은 모래를 말하고 눈으로 봐서 알갱이가 보이는 모래를 통칭합니다.
강에서 나는 것을 강 마사. 산에서 나는 것은 그냥 마사라고 합니다.
다육이에 사용할 때는 물로 씻어서 황토성분을 제거하고 사용합니다.
흙이 말라서 서로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지요.
👉 쪼글 거린다. 쭈글거린다???
다육이 쪼글 거릴 때 물주라는 말을 많이 들으실 겁니다.
이 말은 다육이 입장이 눈으로 봐서 주름이 잡힌 것을 말합니다.
얼굴 주름살처럼 골이 지면서 만져 보십 말랑말랑 거립니다.
👉 생장점
보통 적심이란 용어가 나오면 생장점을 뜯어 주라는 말이 나옵니다.
생장점이란 잎의 중앙 부분을 말합니다. 지속적으로 크는 정 중앙 부분이지요.
그곳의 잎을 뜯어내면(손이나 핀셋) 아이들이 많이 달립니다.
👉 #백분, 분
물을 주고 나니 분이 지워졌다고 하시지요.
다육이 잎에 보심 흰 가루가 묻어 있는 것이 있습니다.
백봉이나 라우이등 다육이를 햇살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관상용 가치도 높여 줍니다.
만지실 때 분이 안 묻게 하시고 물 주실 때 저면 관수하세요.
👉 물이 든다?
다육이 키우시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입니다.
어떻게 하면 물이 잘 드는가? 하는 질문이 많다고 합니다.
다육이는 매일 색상이 변합니다. 하지만 그중에서도 늦가을에 색상이 제일 화려합니다.
그때를 기준해서 잎장의 색깔이 나는가를 말합니다.
자기가 키우는 이름을 검색해 보심 물든 이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.
그 색상을 기억하시고 그 색상이 나올 때를 기다리시면 됩니다.
👉 적 심, 목친다??
얼굴이 하나 뿐이어서 다복한 군생으로 만들고 싶를때
생장점을 뜯어내 인위적으로 아이들을 만드는 것을 적심이라 합니다.
👉 삽목
삽목이란 적심과 혼동하시기 쉬운데 이것은 줄기를
잘라서 심는 것을 말합니다. 흔히 훌쩍 웃자란 아이들이나
오래 묵은 다육이는 목대를 잘라서 심어 개체 수를 불립니다.
꺾꽂이라고 생각하심 간단합니다.
👉 #걸리대. #난간걸이대
아파트나 주택 #베란다에서 키우시면 해를 많이 못 보지요??
이때 밖으로 메달 때 필요한 화분 전용 #걸이대를 말합니다.
쉽게 걸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.
한 시간이라도 더 햇살을 보여 줄려는 다육이 맘들을 위한 제품 ........
👉 살충제, 살균제
#살충제는 다육이에 기생하는 벌레를 죽이는 약입니다.
#진딧물, #깍지벌레, 거미, 무당벌레, 나비, #유충 등 많이 있습니다.
1년에 3~4번은 쳐주셔야 합니다.
살균제는 #무름병이나 #탄저병을 예방하는 약입니다.
무름 병은 무서운 병입니다.
한순간에 후드득 잎이 떨어지고 목대도 물렁 거여 썩지요.
1년에 3~4회 예방해 주셔야 합니다.
👉 #저면관수
저면 관수란 물주는 방법입니다. 일반적인 화초는 물조루로
그냥 부어주지만 다육이는 잎장을 보는 #식물이기 때문에 분이 안 지워지게
하거나 잎장 사이로 물이 묻어 병이 오는 걸 방지하기 위하여 이런 방법을 택합니다.
화분 중간 정도 오도록 용기에 물을 받아서 화분을 담가 두는 것을 저면 관수라고 합니다.
👉 #창, #매창
#다육이종류중에 창이란 이름은 없다고 합니다.
단지 잎 끝에 뾰족한 가시가 나있는 다육이를 창이라고 통칭합니다.
매창이란 매혹의 창이라고 이 뻐 매혹적인 창을 줄여서 부른답니다.
👉 에케베리아
에케베리아, 두들레야, 코노피듐, 하월시아, 리톱스
이런 이름은 다육이를 종류별로 구분해 놓은 용어 입니다.
키우시다 보면 다 이해하실 겁니다.
👉 동형 종, 하형종
다육이가 동형이냐 하형이냐 구분합니다.
동형은 겨울에도 자라는 것을 말합니다. (두들레야,하월시야,등)
하형종은 평소 우리가 기르는 여름네 자라는 것을 말합니다.
단 여름이나 겨울에 자라는 아이들도 봄 가을 만큼은 못 잘랍니다.
더디게라도 자란다는 말입니다.
👉 차광막
화상을 입는다고 차광막을 해 주라는 말이 있지요
모기장이나 망사로 된 것을 다육이를 위에 씌워 주는 것을 차광막 친다고 합니다.
베란다에서 바로 밖으로 나가면 햇살에 피부 화상 입는것 처럼 검게 탑니다.
👉 #철화
사람으로 치면 장애우입니다. 변이 종이죠,
정상적이 아니라 몸통이 부채꼴처럼 되거나
잎이 뭉쳐서 크는 놈들을 말합니다. 일종의 돌연 변이입니다.
👉 노지
아이들이 노지에서 키운다 함은 밖에서 하우스도 없이 그냥 키운 것을 말합니다.
이렇게 키우면 튼튼해집니다만 화상 조심 장마철 무름병 조심해합니다.
👉 화장 한다?
다육이가 물 든다는걸 말합니다.
👉 솔방울을 만든다
다육이를 굶기고 해를 많이 보여주면 로제트(얼굴)이 솔방을 처럼
동글동글 해진다는 표현 정야나 데렌 올리버, 라즈베리
같은 아이들을 이리 만들려고 노력 하지요
👉 군생
한 뿌리에서 여러 로제트(얼굴)가 같이 있는 것을 군생이라 합니다.
다육이는 군생이 비쌉니다. 같이 여러 개를 심는 것은 합식이라 합니다.
사실 때 뽐아 보고 사셔야 군생인지 합식인지 아실 수 있어요 ㅎㅎ
👉 실생
실생 아가 보이 데스, 실생 라우이 이러 말을 많이 합니다.
이것은 다육이 씨를 뿌려서 키운 것을 말합니다.
다육이 번식법에는 실생, 잎꽂이, 삽목, 적심 등이
있습니다.
👉 패주다?? 피멍
이것은 다육이 잎장에 얼룩 덜룩 문양이 나타나는
다육이를 표현한 말입니다. 피멍이 잘 나와애 이쁘지요.
안 나오면 때려서라도 물들게 하려는 좀 과격한 표현입니다.
연봉, 리가나, 백왕자 등을 말합니다.
👉 원종
원종 마리아. 원종 에보니 이렇게 원종이라 쓰지요.
이것은 단군 할아버지를 말하는 거랍니다. #다육이종류의 원조를 말합니다.
그 다육이를 교배시켜 비스름한 놈들을 만들었다는 이야기
👉 교배종
다육이를 서로 다른 종류끼리 수정 시켜서 변종을 만들어 냅니다.
이때 탄생한 아이을 교배종이라 합니다. 잡종이지요.
다육을 처음 접하시는 초보 분들은 헷갈려 하셔
다들 아시는 용어지만 도움 되셔 씀 합니다.
'더텐샵 정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육식물- 다육이 화분 만들기 종이컵 재활용 귀여운 캐릭터 화분 만들기 1탄 (0) | 2021.01.25 |
---|---|
다육식물- 다육이를 구입할때 고려해야 할점! (0) | 2021.01.18 |
다육식물- 다육이 홍옥, 오로라, 애심,을려심 구분법 (0) | 2020.12.28 |
내 맘대로 시멘트 화분만들기 공기정화식물 스킨답스 / 행운목 새집꾸미기 (0) | 2020.12.24 |
다육식물-실내 좁은 공간 활용 - 잎꽂이한 다육이 정리하기 (0) | 2020.12.17 |